디스크 스케쥴링 Disk Scheduling
  - 사용할 데이터가 디스크 상의 여러 곳에 저장된 경우 
 데이터에 접속하기 위해서 디스크 헤드를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기법
- 운영체제가 담당하며, 처리량을 최대화하고 
 응답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.
- FCFS, SSTF, SCAN, C-SCAN, LOOK, N-step SCAN, SLTF와 같은 
 여러가지 Disk Scheduling 기법이 존재한다.
Disk Scheduling 기법
  - FCFS, First Come First Served
    
      - 디스크 대기 큐에 가장 먼저 들어온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기법
- First In First Out 방식
 
- SSTF, Shortest Seek Time First
    
      - 현재 위치에서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기법
- 일괄처리 시스템에 유용한 기법
-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헤드를 이동시킨다.
 
- SCAN
    
      - 현재 헤드 위치에서 진행 방향이 결정되면 탐색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
-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 
 끝까지 이동한 후 역방향의 요청 사항을 서비스하는 기법
 
- C-SCAN, Circular SCAN
    
      - 항상 바깥 → 안쪽으로 움직이며, 가장 짧은 탐색 거리를 갖는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법
- 안쪽 끝까지 이동한 후, 다시 바깥 쪽부터 탐색하기 때문에 비교적 공평한 기법
 
- LOOK (Elevetor Algorithm)
    
      - SCAN 기초로 사용하는 기법
- 진행 방향으로 더 이상 요청이 없으면,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기법
- SCAN은 이동 방향의 끝까지 간 후에 방향을 바꾸지만 
 LOOK 기법은 요청한 부분까지만 간 후에 방향을 바꾼다.
 
- N-STEP SCAN
    
      - SCAN 기법을 베이스로 두고 있는 기법
- 어떤 방향의 진행이 시작될 당시에 대기 중인 요청만 처리하고 
 진행 도중 도착한 요청은 한꺼번에 모아서 
  다음 반대 진행 방향으로 진행할 때 서비스하는 기법
 
- SLTF, Shortest Latency Time First
    
      - Sector Queuing
- 회전 지연 시간 최적화를 위해서 구현된 기법
- 디스크 헤드가 특정 실린더에 도착하면 
 그 실린더 내의 여러 트랙에 대한 요청을 검사한 후
 회전 지연 시간이 가장 짧은 요청부터 서비스하는 기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