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앙처리장치, 기억장치, 통신장치, 입출력 장치 구분| 목적 | 설명 | 
|---|---|
| 사용자 편리성 제공 | 한정된 시스템 자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 및 운영 입출력 편의 제공, 사용자가 하드웨어 접근 용이하게 함. | 
| 인터페이스 기능 담당 |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를 연결함 | 
| Scheduling 담당 |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 프로그램 환경 하에서 자원의 현 상태 파악하고 자원 분배를 위한 Scheduling 담당 프로세서, 메모리 등의 자원 Scheduling | 
| 자원 관리 | CPU, 메모리, 기억 장치, IO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 | 
| 제어 기능 | IO 장치와 사용자 Program 제어 | 
| 오류 회복 기능 | SW와 HW에 Error가 발생하면 자체 회복을 시도한다. | 
| 평가 기준 | 설명 | 
|---|---|
| 경과 시간 (반환 시간) Turnaround Time | OS에 작업을 요구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| 
| 응답 시간 (반응 시간) Response Time | 작업이 처음 실행되기 전까지 걸린 시간 | 
| 사용 가능도 Availability |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생겼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| 
| 신뢰성 Reliability |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| 
| 처리량 Throughput |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| 
| 종류 | 설명 | 
|---|---|
| 감시 프로그램 Supervisor Program | 각종 프로그램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 감시 및 감독하는 Program | 
| 작업 제어 프로그램 Job Control Program | 작업의 연속 처리를 위한 Schedule 및 시스템 자원 할당을 담당하는 Program | 
|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Data Management Program |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보조기억장치의 자료 갱신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| 
| 프로그램 종류 | 설명 | 
|---|---|
| 언어 번역 Language Translator | 원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Asembler, Compiler, Interpriter | 
| 서비스 | 효율성을 위해 사용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 Library, Utility Program | 
| 문제 | 특정 업무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| 

Process 관리, 기억장치 관리, 주변장치 관리, 파일 관리가 커널의 기능에 속한다.운영체제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따라 
  일괄 처리 시스템,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, 다중 처리 시스템, 시 분할 시스템 
  실시간 처리 시스템, 분산 처리 시스템 등으로 나뉘어진다.
연산 속도의 향상과 신뢰성 증진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.